본인의 의도와는 다르게 자신도 모르는 사이 자녀에게 화를 내는 부모들이 늘고 있다. 자녀에게 화를 자주 내는 부모들은 대부분 낙오할지도 모른다는 두려움에 사로잡힌 ‘낙오 공포’를 호소한다. 이는 부모의 진심이라기보다 조기 교육이 나이라는 질서를, 선행 학습이 학년이라는 질서를 무너뜨린 혼란스러운 상황에서 유발된 욕심이다. 그러나 욕심을 부린다고 자녀가 잘 따라주지는 않는다. 도리어 자녀와의 사이만 나빠지고 그래서 더 불안해지면서, 결국 갈수록 수렁에 빠지는 느낌을 받을 수도 있다.
운전할 때 우리는 최소한의 사회적 믿음이 필요하다. 다른 운전자들도 교통법규를 준수할 것이라는 믿음이 없으면 과연 안심하고 운전할 수 있을까? 지금 우리나라의 교육 상황은 교통신호를 지키지 않고 과속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조기 교육과 선행 학습이 정상적인 운전자들에게 엄청난 불안감을 유발하는 상황이다. 그런 상황적 요인을 간파하지 못하고 그저 불안하다고 성급하게 사교육에만 매달리는 부모들은 오히려 불안감만 가중될 뿐이다.
자녀의 욕구에 의해서가 아닌 부모의 불안을 잠재우고자 남들보다 뒤처지지 않기 위해 남용되는 사교육을 제대로 활용하는 자녀들은 얼마나 될까. 부모는 일시적인 감정과 부모 자신의 진심을 구분하지 못하고, 상황이 유발하는 불안감을 자식 사랑으로 착각하며, 불안감과 자신을 동일시하기도 하는데 이는 매우 위험하다.
프랑스의 철학자·정신분석학자 라캉은 이런 질문을 던졌다. “지금 당신이 욕망하는 것이 진정으로 당신이 욕망하는 것인가?”라고. 그는 우리 욕망의 대부분이 자신의 욕망이라기보다는 타자의 욕망이라고 냉정하게 진단했다.
지금 이 시대에 자본만큼 우리를 강하게 지배하는 타자도 없다. 자본은 마치 몸에 기생하는 암세포처럼 내면의 욕망을 먹이 삼아 번식한다.
욕망이 치열해질수록 자본은 더욱 강해질 테고, 삶은 점차 병들어간다. 자본이 남긴 뿌리 깊은 상처를 근본적으로 치유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가장 시급한 것은 우리가 상처받고 병들어 있다는 사실에 직면할 용기를 갖추는 일이다. 숨겨진 상처를 그대로 직시할 때, 비로소 치유의 희망이 피어나는 것이다.
사교육 시장의 자본은 학부모들의 마음을 이용해 공포를 파는 방식으로 유지되고 있다. 부모의 욕망을 파고드는 마케팅에 이끌려서 휩쓸리는 사교육의 시장 논리가 낙오 공포를 유발한다는 사실을 부모 스스로가 먼저 알아 차리는 것이 부모 역할 정상화의 출발점이라는 것을 기억하자.
어떤 상황이 유발한 감정과 자신을 동일시하는 순간, 부모 역할은 엉망이 된다. 부모가 화를 자주 내면 부모와 자녀 사이의 관계는 변질된다. 부모에게 친밀감보다는 적대감을 자주 느끼는 자녀들은 부모를 아군이 아닌 적군으로 인식 한다. 이런 자녀들은 부모의 일거수일투족이 신경에 거슬리며, 부모 말이라면 거부감을 먼저 갖게 된다. 부모의 말은 자신 에게 유익한 것이 대부분이겠지만, 문제는 무조건 듣기 싫다는 감정이 앞선다는 데 있다.
부모와 자녀 사이의 관계 회복을 위해서는 ‘마음 챙김’이 중요하다. 마음 챙김은 자신의 감정을 객관화하여 바라보고 설명하는 연습이 핵심이다. 자아를 다음과 같이 분류하는 심리학자들이 있다.
많은 사람들이 ‘지각하는 자기’가 느끼는 감정을 ‘개념화된 자기’로 뒷받침하면서 성질을 부리며 살아간다.
“저는 성격이 급해서 그런지 자녀가 마음에 들지 않는 행동을 하면 참을 수가 없어요.” 이런 경우라면 부모 역할이 점점 힘들어진다. 일단 부정적인 감정이 올라오는 것을 스스로 알아차려야 한다. 부모와 자녀 사이는 물론, 화라는 감정이 자기 언행의 주인 행세를 하려는 순간을 알아차리고 ‘관찰하는 자기’를 호출하는 것이다.
자신을 비난하는 적군 같은 부모가 마음 챙김을 통해 자신의 감정적인 언행을 인지하고, 자녀에게 사과하는 순간 아군이 된다. 당연히 아군인 부모에게 자녀는 마음의 문을 연다. 물론 마음 챙김은 쉽지 않다. 자신도 모르게 순간적으로 마음을 지배하는 감정의 습격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많은 연습이 필요하다.
부모의 마음 챙김은 사회에서 정답이라고 강요하는 것에 압도되지 않고, 자녀를 있는 그대로 보고 인정하는 데에서 출발한다. 마음 챙김을 통해 화를 참는 것이 아니라, 화에서 벗어나는 데 성공하면 자녀의 마음이 보이게 되고, 부모 마음이 먼저 안정되니 자녀들이 무엇을 원하는지 알게 된다. 또한, 자녀가 필요하다고 느끼는 것을 도와주면 자녀는 고맙다고 할 것이다. 그러면 부모 역할을 잘 할 수 있다는 자신감도 얻게 된다.
주변의 정답에 초점을 두지 말고, 자녀를 그대로 관찰하면서 자녀의 수준과 수용력을 고려해 자녀를 대해보자. 행복한 부모를 통해 행복한 자녀가 성장하므로 자녀교육을 올바르게 하기 위해서는 부모의 마음 공부가 더없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