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 매거진 주요 메뉴
생각의 뿌리
· 개편 소식
· 여는글
· 예술산책
· 멘토 인사이드
· 역사 한 스푼
· 추억현상소
· The-K 가족 - 보험
· The-K 가족 - 출자회사
배움의 새싹
· 교육 돋보기
· 교육 나침반
· 생생지락(生生之樂)
· 꿈지락
· 알쏭달쏭 가로세로 퀴즈
· 숨어 있는 K대리를 찾아라
한줄기 기쁨
· 지구촌 여기저기
· 우리땅 구석구석
· 맛있는 에세이
· 트렌드 탐구생활
행복의 열매
· OTT 속 세상
· 슬기로운 건강생활
· 소소(笑笑)한 경제
· 마음, 쉼
· 미래를 위한 오늘
· 꿈꾸는 책방
· 개편 기념 방명록 이벤트
든든한 더케이
· The-K 포커스 1
· The-K 포커스 2
· The-K 포커스 3
· The-K 브리핑
· The-K 광장
· The-K 영상 퀴즈
· The-K 매거진 능력고사
· 이벤트 당첨자 리스트
지난호
구독
공유
회원의견
E-BOOK
Vol.95 2025년 7월
Vol.94 2025년 6월
Vol.93 2025년 5월
Vol.92 2025년 4월
Vol.91 2025년 3월
Vol.90 2025년 2월
Vol.89 2025년 1월
Vol.88 2024년 12월
Vol.87 2024년 11월
Vol.86 2024년 10월
Vol.85 2024년 9월
Vol.84 2024년 8월
Vol.83 2024년 7월
Vol.82 2024년 6월
Vol.81 2024년 5월
Vol.80 2024년 4월
Vol.79 2024년 3월
Vol.78 2024년 2월
Vol.77 2024년 1월
Vol.76 2023년 12월
Vol.75 2023년 11월
Vol.74 2023년 10월
Vol.73 2023년 9월
Vol.72 2023년 8월
Vol.71 2023년 7월
Vol.70 2023년 6월
Vol.69 2023년 5월
Vol.68 2023년 4월
Vol.67 2023년 3월
Vol.66 2023년 2월
Vol.65 2023년 1월
지난 호 보기
생각의 뿌리
배움의 새싹
한줄기 기쁨
행복의 열매
든든한 더케이
Vol.95 2025년 7월
Vol.94 2025년 6월
Vol.93 2025년 5월
Vol.92 2025년 4월
Vol.91 2025년 3월
Vol.90 2025년 2월
Vol.89 2025년 1월
Vol.88 2024년 12월
Vol.87 2024년 11월
Vol.86 2024년 10월
Vol.85 2024년 9월
Vol.84 2024년 8월
Vol.83 2024년 7월
Vol.82 2024년 6월
Vol.81 2024년 5월
Vol.80 2024년 4월
Vol.79 2024년 3월
Vol.78 2024년 2월
Vol.77 2024년 1월
Vol.76 2023년 12월
Vol.75 2023년 11월
Vol.74 2023년 10월
Vol.73 2023년 9월
Vol.72 2023년 8월
Vol.71 2023년 7월
Vol.70 2023년 6월
Vol.69 2023년 5월
Vol.68 2023년 4월
Vol.67 2023년 3월
Vol.66 2023년 2월
Vol.65 2023년 1월
지난 호 보기
생각의 뿌리
개편 소식
여는글
예술 산책
멘토 인사이드
역사 한 스푼
추억 현상소
The-K 가족 - 보험
The-K 가족 - 출자회사
배움의 새싹
교육 돋보기
교육 나침반
생생지락(生生之樂)
꿈지락(꿈知樂)
알쏭달쏭 가로세로 퀴즈
K대리를 찾아라
한줄기 기쁨
지구촌 여기저기
우리땅 구석구석
맛있는 에세이
트렌드 탐구생활
행복의 열매
OTT 속 세상
슬기로운 건강생활
소소(笑笑)한 경제
마음, 쉼
미래를 위한 오늘
꿈꾸는 책방
개편 특집 방명록 이벤트
든든한 더케이
The-K 포커스 1
The-K 포커스 2
The-K 포커스 3
The-K 브리핑
The-K 광장
The-K 영상 퀴즈
The-K 매거진 능력고사
이벤트 당첨자 리스트
The-K 통합검색
닫기
작성자
강*지
2025-05-02
아이를 키우며 허덕일 때 동료 선생님이 해준 말이에요
내가 책에서 봤는데 이런 실험이 있더라?
개미가 먹이를 발견하면 페로몬을 뿌려서 자기 집으로 돌아와 동료에게 알리고 그 먹이를 집으로 가져갈 지원군이 필요하니까
어떤 사람이 이걸 연구했어 개미 중에는 그 페로몬 신호를 잘 읽고 그 길을 잘 찾아가는 개미가 있고 어리버리하게 못 찾는 개미도 있대
이런 개미가 있을 때 먹이를 가져오는 효율이 어떤지 살펴본거야
결과가 어땠을까? 페로몬 신호를 잘 해석하는 개미의 비율이 많은 쪽과 어리버리한 개미가 많은 쪽
어디가 더 효율이 높았을까?
왜 그런가하면 실은 맨 처음에 페로몬이 뿌려진 길이 최단경로는 아닐 수 있거든?
근데 실수없이 그것만 잘 찾아가는 개미는 늘 그 길로만 가는데
어리버리들은 어쩌다가 더 좋은 경로를 발견해
그런 긍정적인 오류들이 쌓이니까 그런 결과가 나왔대
넌 더 나은 너만의 길을 찾고 있는 중일거야
목록
지난호
구독
공유
회원의견
E-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