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K 매거진(더케이매거진)
작성자 강*지 2025-05-02
아이를 키우며 허덕일 때 동료 선생님이 해준 말이에요
내가 책에서 봤는데 이런 실험이 있더라?

개미가 먹이를 발견하면 페로몬을 뿌려서 자기 집으로 돌아와 동료에게 알리고 그 먹이를 집으로 가져갈 지원군이 필요하니까

어떤 사람이 이걸 연구했어 개미 중에는 그 페로몬 신호를 잘 읽고 그 길을 잘 찾아가는 개미가 있고 어리버리하게 못 찾는 개미도 있대

이런 개미가 있을 때 먹이를 가져오는 효율이 어떤지 살펴본거야

결과가 어땠을까? 페로몬 신호를 잘 해석하는 개미의 비율이 많은 쪽과 어리버리한 개미가 많은 쪽

어디가 더 효율이 높았을까?

왜 그런가하면 실은 맨 처음에 페로몬이 뿌려진 길이 최단경로는 아닐 수 있거든?

근데 실수없이 그것만 잘 찾아가는 개미는 늘 그 길로만 가는데

어리버리들은 어쩌다가 더 좋은 경로를 발견해

그런 긍정적인 오류들이 쌓이니까 그런 결과가 나왔대

넌 더 나은 너만의 길을 찾고 있는 중일거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