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와 학교를 접수한 '과학교사 K'
경기도 광주시 퇴촌면에 자리한 광수중학교. 주변으로 아담한 야산과 텃밭, 마을이 살을 맞대고 있는 광수중학교에서는 마을과 연계해 다양한 배움 중심 수업이 이뤄지고 있다.
게다가 전국구 스타 쌤튜버(선생님 + 유튜버) ‘과학교사K’ 김요섭 교사를 비롯해 열정적인 교사들이 모여있는, 그야말로 속이 꽉 찬 학교라 할 수 있다.
김요섭 교사는 2019년 광수중학교에서 첫 교직생활을 시작했다. 그해 여름, 유튜브에 첫 영상을 올렸으니 유튜버 경력도 3년 차다. 그는 매월 중등 교과 과정에서 익혀야 할 과학적 지식을 정리한 영상을 유튜브에 올린다.
과학 단일 과목을 다룸에도 불구하고 그의 채널 구독자수는 약 6천 5백여 명, 누적 조회수는 86만 회에 가깝다.
“대학에서 교육학을 공부할 때부터 영상 콘텐츠를 수업에 활용하고 싶었어요. 전공이 지구과학이라 시각적으로 표현해야 할 것이 많고, 교육 방식 자체도 온·오프라인을 연계하고 싶었죠.
아이들이 수업 전에 영상을 미리 보고 오면, 수업 시간에는 그걸 바탕으로 참여 위주 수업을 진행하는 방식으로 말이에요. 실제로 교사가 된 후부터 저는 영상과 토론·발표·실험 등을 결합해 다양한 방식으로 수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김요섭 교사가 운영 중인 유튜브 채널 ‘과학교사K
온라인 세상에서 그는 ‘과학교사K’라고 불린다. ‘과학교사K’는 초인적인 실력과 열정을 가진 만화 주인공 ‘닥터 K’에서 따온 이름이다. 그가 어릴 적 정말 재미있게 봤다는 이 만화는 의학 만화이면서 복합적인 성격을 띤다.
채널 개설을 준비하며 이 만화가 떠올랐다는 김요섭 교사는 마침 자신의 이니셜이기도 한 ‘K’를 따와 ‘과학교사K’로 이름을 지었다.
또 그는 판다 탈을 쓰고 영상에 모습을 드러낸다. 학생들에게 친근하게 다가가기 위해서다. 김요섭 교사는 “채널을 개설하던 시기 마침 펭수가 선풍적인 인기를 끌어서 상대적으로 큰 관심을 얻지 못했다” 라며 웃는다. 하지만, 그의 수업은 과학을 좋아하는 학생들을 중심으로 크게 인기를 끌었다.
그러다 코로나19가 확산되면서, 그의 채널은 전환기를 맞았다. 온라인 수업이 주를 이루면서, 영상 수업의 선구자격이던 그의 채널로 많은 사람이 몰린 것이다. 전국의 학생, 교사가 그의 채널을 찾아오면서 100여 회에 불과하던 조회수는 100배가 늘었다.
지난해 5월 제작한 ‘등교 개학에서 지켜야 할 것들 – 코로나 안전 수칙’ 영상은 무려 13만 5천여 회나 재생됐다. 사람들은 “중독성 있다”며 그의 작품들에 열광한다. 쉽고 재미있는 애니메이션 영상과 개성 있는 말투, 은근슬쩍 튀어나오는 B급 감성까지. 열광할 이유는 충분하다.
학생들에게 친근하게 다가가기 위해 종종 판다 탈을 쓰고 영상에 모습을 드러내기도 하는 김요섭 교사.
수많은 여정을 지나, 학생들 앞에 서다
김요섭 교사는 ‘복합’이란 말이 참 잘 어울리는 교사다. 이미 전직부터가 남다르다. 그는 처음부터 교직에 뜻을 두진 않았다. 도시계획을 전공한 김요섭 교사의 첫 직장은 국회.
정치에 뜻을 품고 국회 인턴으로 들어갔지만, ‘내가 할 일이 아니다’라는 결론을 내렸다. 그다음 전공을 살려 도시계획 관련 회사에 입사했지만, 그 역시 ‘내가 신념을 가지고 할 일은 아니다’라는 결론을 내렸다.
일 중독이었던 김요섭 교사는 ‘내가 열정적으로 일했을 때 최상의 가치를 얻을 수 있는 곳은 어디일까?’, ‘신념을 가지고 일할 수 있는 곳은 어디일까?’를 고민하다 자연스레 학교를 떠올렸다.
이후 사범대에 편입한 그는 그 안에서 천직을 찾았다.
“교사가 왜 좋으냐고요? 먼저, 학생과 교사는 수평적·상호보완적 관계예요. 교사 간에도 서로의 수업 방식을 존중해주고요. 따라서 학교에서는 도전과 열정에 대한 자유를 보장받을 수 있어요.
둘째, 교사가 시간과 노동력을 많이 투자할수록 학생에게 많은 혜택이 돌아갑니다. 열심히 노력해서 학생들에게 양질의 수업을 제공했을 때의 보람은 이루 말로 표현할 수가 없어요.”
김요섭 교사는 전직에서 배운 노하우를 수업에 최대한 활용했다. 직장에서 배운 파워포인트, 영상, 문서, 애니메이션 작업 기술을 활용해 양질의 수업 자료를 만드는 것이다. 어릴 때부터 갈고닦아온 ‘힙합’ 실력은 귀에 쏙쏙 박히는 내레이션에서 발현된다.
혹자는 ‘교사가 되기까지 멀리 길을 돌아 왔다’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김요섭 교사는 “다시 과거로 돌아간다고 해도 똑같은 과정을 거쳐 교사가 되고 싶다”고 말한다. 학생들에게 더 많은 것을 주고 싶은 마음을 너무나도 잘 알기에, 동료 교사들도 그의 수업에 힘을 보탠다.
“제가 ‘이렇게 수업해보면 어떨까요?’ 하고 선생님들께 말씀드리면, ‘우리가 무엇을 어떻게 도와줄 수 있을까요?’ 하고 물으세요. 이런 학교에서 일하게 된 것 자체가 천운이라고 생각해요. 선생님들 덕분에 저는 여기까지 왔습니다.”
집단지성의 힘으로, 최상의 온라인 수업까지
유튜브를 개설한 지 2년여, 그가 열정적으로 업로드한 영상 수는 약 110개. 일주일에 1개씩 영상을 올린 셈이다. 전문 유튜버 못지않은 활동이다. 여가와 개인 생활을 뒤로 하고 수업 준비에만 정성을 쏟은 결과이기도 하다. 그러나 너무나 열심히 달려온 탓일까? 지난 겨울, 김요섭 교사에게 위기가 찾아왔다.
“제가 표현하고 싶은 수준은 크게 올랐는데, 기술이 따라주지 않는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보통 영상 하나를 만들 때 교재 연구부터 시나리오 작성, 영상 제작, 업로드까지 하루면 족했는데, 언제부턴가 몇 배의 시간을 투자해도 만족스러운 결과물이 나오질 않았죠. 만들었다가 지우길 반복하다 끝난 적도 있었습니다.
새 학기가 시작되었는데도 영상은 나오질 않고, 정말 힘든 시간을 보냈어요.”
그렇게 고된 과정을 거치면서도 영상 제작을 놓을 수는 없었다. 아이들 때문이다. 영상을 수업에 접목함으로써 아이들의 학습 이해도와 태도가 얼마나 달라졌는지, 그는 이미 눈으로 확인했다. 그래서 다시 마음을 잡고 또 잡았다.
그리고 고민의 결과, 김요섭 교사는 ‘팀 과학교사 프로젝트’를 계획했다. 지구과학을 전공한 그는 물리·생물·화학 등의 분야는 상대적으로 지식이나 교수 방법이 약할 수밖에 없다. 최대한 쉽게, 재미있게 설명을 하려다 보면 과하게 비유를 하거나 오류를 범하기도 한다.
그래서 그는 전국의 베테랑 과학교사들을 유튜브 안으로 끌어들이기로 했다.
“집단지성이란 다수의 사람이 각자의 지적 능력을 모아 만들어내는 결과물을 말합니다. 저는 여기서 한발 더 나아가 교사들로부터 각자 가진 수업 노하우, 교과 지식을 모아 최상의 온라인 교육 영상을 만들고 싶습니다. 저는 영상 제작 노하우를 보태는 것이죠.
그럼 학생들에게도, 교사들에게도 분명 좋은 결과를 가져다줄 거라고 믿습니다.”
김요섭 교사가 계획하고 실행한 또 다른 프로젝트는 ‘온라인 공개수업’이다. 임용시험 면접 당시 “제 수업은 대국민 공개로 하고 싶다”라고 말했던 것을 실행하고 있는 것이다. 그는 자신의 수업을 전국에 공개하고, 학생, 학부모, 교사, 교육전문가, 그리고 교육과 전혀 관련 없는 제삼자의 이야기까지 들어보려 한다.
그렇게 그는 많이 듣고, 만들고, 다시 듣고, 학생들에게 전달하는 일을 계속할 계획이다.
“제 목표는 항상 제 눈앞에 있어요. 학생들에게 최선을 다하자는 것이 목표거든요. 제가 줄 수 있는 가장 좋은 것을 학생들에게 전달해 주고 싶어요. 학교에서 학생이 개념을 이해하고 습득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배우는 과정에서 즐겁고 다양한 경험을 해보면 좋겠어요.
그렇게 세상을 바라보는 시각을 넓혀주고 싶어요. 그것이 김요섭이자 과학교사K의 목표입니다. 지금까지 과학교사 K의 인터뷰였습니다!”.
태양계를 여행하는 영상을 VR로 체험하며 수업하는 모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