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명의 아이를 맡기고 뵐때마다 선생님의 따뜻한 말씀은 감동입니다. 아프지마시고 항상 건강하세요.
아이들을 위해 항상 헌신하신 선생님들 존경합니다.
저는 흙덩이었는데 도자기로 빚어주셨어요. 존경합니다 선생님.(종업식날 받은 편지 내용 중)
선생님이 좋아, 선생님처럼 되고 싶어 진짜 선생님이 되었어요. 감사합니다, 선생님.
천천히 가도 괜찮아. 다 잘될꺼야
늘 곁에서 많은 응원과 지지를 보내주는 동료교사이자 친구인 선생님들, 고마워요.
내가 나 자신을 너무 싫어하고 있었을 때, "그게 너야. 그런 너를 그냥 사랑해야 해. 나는 너를 아니깐, 그런 너라도 좋은데..."라고 30년 동안 알고 지낸 언니가 미국에서 잠깐 한국에 들어왔을 때 해준 말.
지금 이 순간을 놓치지 말고 즐기길~
선배 스승님께... 항상 옆에서 조언해주시고 어려울때 도움주셔서 지금의 제가 있을 수 있는것 같아요. 감사드립니다.
"엄마 요즘 학교 가는게 재미있어. 국어 시간이 너무 즐거워" 즐거운 학교생활을 만들어주신 선생님께 너무 너무 감사해서 여기에 그 마음을 실어봅니다. 스승의 그림자도 밟지 않았던 저희 시절과 다른 시대이지만.. 그럼에도불구하고 아이를 사랑하는 선생님의 마음은 한결같이 전해져 내려옵니다. 늘 같은 일상이지만 아이들에게는 그 하루가 늘 새로운 시간을 만들어 주신 사랑에 감사합니다. 슬기로운 초등생활을 선사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쌤, 고생 많았어요. 올해 너무 열심히 해서 금방 원하는 데로 갈 수 있을 거야." (임용을 앞둔 기간제 생활을 마무리할 때, 학년부장님께서 해주셨던 말씀. 그리고 지금 학년부장 겸 업무부장을 하고 있는 나.)
저는 일반 초등학교 특수학급을 담당하고 있는 특수교사입니다. 3년도 전의 일입니다. 새로 부임한 학교에는 지원인력도 없이 중증학생 4명과 등하교지원, 급식지도, 교실이동지원, 국어와 수업 지도까지 저 혼자만의 몫이었습니다. 1주일만 견디고 1달만 견뎌내자라는 일과는 제 힘에 너무 버거웠고 급기야는 학교에서 쓰러지는 일이 생겼지요. 어느누구에도 원망할 순 없지만 급격히 나빠진 제 건강과 원치않은 병가와 병휴직까지 감당하기 힘들었습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