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케이매거진 Magazine
Monthly Magazine
July 2022 Vol.59
생각 나누기 아이콘 이미지

배움 더하기

오늘의 학교

'수포자' 아닌, 수학 좋아하는 '수호자' 만들어요
아시아 첫 스벤드 페데르센 교육상 수상

서울대 사범대학 수학교육과
권오남 교수
‘수학’이라는 단어만 들어도 머리가 아프다고 호소하는 이들이 많다. 대한민국 교육과정에서 차지하는 위상만큼이나 부담도 큰 과목인 수학.
누군가에게는 암호처럼 보이는 수식 때문에 지레 ‘수학을 포기했다’라고 말하는 학생도 적지 않다.
정말 수학은 재미없는 과목일까. 권오남 교수는 ‘주입식’이 아닌 ‘탐구 지향’을 통해 재미있는 수학 교수법의 길을 제시한다.

정라희 / 사진 이용기

※ 모든 인터뷰 및 사진 촬영은 코로나19 방역수칙을 준수해서 진행했습니다.

문제 풀이가 아닌 탐구하는 수학을 고민하다

평생 수학교육에 헌신해온 권오남 교수에게 희소식이 들려왔다. ‘스벤드 페데르센 교육상’ 수상자로 선정된 것. 스웨덴의 수학·과학 교육 혁신을 선도한 페데르센 박사를 기념해 스톡홀름 대학에서 수여하는 이 상은 수학·과학 교육 분야에서 남다른 연구 성과를 보인 연구자들에게 주어지는 영예다. 2005년에 제정되어 올해로 17회를 맞는 동안, 세계 각국의 명망 있는 연구자들이 수상자로 이름을 올렸다. 수학과 과학 분야를 해마다 번갈아 선정하는 이 상의 수상자로 아시아 연구자가 꼽힌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세계 수학 교육계를 이끈 명망 높은 분들 사이에 제 이름이 언급되는 것만으로도 영광이었습니다. 심사위원들이 제가 그동안 발행한 논문을 꼼꼼하게 읽어보고 인용지수를비롯한 연구의 영향력을 고려해 선정한 결과여서 저에게는 더 의미 깊게 다가왔습니다.”
논리적 사고를 중요하게 여기지만, 안타깝게도 국내 수학교육의 현실은 다른 과목과 마찬가지로 ‘주입식’으로 이루어진다. 그동안 국내 수학교육은 교수자가 칠판에 빼곡하게 문제를 쓰고, 학생들 역시 응용문제를 ‘많이’ 푸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하물며 ‘이해가 안 되면 외우라’라는 말이 수학 성적을 올리는 비결로 언급되기도 했다. 이러한 분위기는 중·고등학교뿐만 아니라 대학에서도 별반 다르지 않았다.
“1990년대 초반에 교수로 대학에 가보니 학생들이 시험을 치르고 2주일만 지나도 공부한 내용을 기억하지 못하는 겁니다. 열심히 공부해서 시험 때 모두 쏟아내고 그 지식은 휘발되어버렸던 거지요. 학생들이 스스로 학습하며 수학적 개념을 깨우칠 방법이 없을까 고민하면서 제 수업부터 바꿔보기로 했습니다.”
그렇게 권오남 교수는 단순 암기가 아닌 맥락을 이해하며 수학적 원리를 거꾸로 찾아가는 ‘탐구지향 교수법’을 개발했다. 한국과 비슷하게 주입식 수학교육에 익숙한 아시아 연구자들은 무려 1990년대 후반부터 그가 이 같은 연구를 해왔다는 사실에 놀라기도 한다.
2018년 제3회 여성과학기술인이 찾아가는 북토크
[출처:한국여성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서울대 수학교육과 학생에게 전공수업을 가르치는 모습
[출처:대한민국 교육부]

수학은 우리 일상생활에
너무도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어요.
많은 학생이 입시에 매몰된 학습에서 벗어나
수학을 탐구하며 학습하는 과정을 통해
다양한 분야에서 수학의 쓰임을 발견하는
경험을 하기 바랍니다.

많이 알지만 스스로 탐구하지 못하는 이유

권오남 교수 자신도 주입식 수학교육의 한계를 체감한 경험이 있다. 미국 유학 시절, 미국인 대학원 동료들에게 수학을 가르쳐줄 만큼 성적이 좋았지만, 막상 논문을 쓸 때가 되니 미국 학생들이 앞서가기 시작했다. 다른 한국 유학생들도 비슷하게 논문 작성에 어려움을 겪었다.
“한국 학생들은 수학 문제를 접하면 과거에 풀었던 패턴을 끄집어내려는 경향이 강해요. 그런데 새로운 연구를 정리해야 하는 논문은 패턴 학습이 어려운 영역입니다. 지식의 양이 적어도 창의적인 사고에 열려 있는 미국 학생들이 논문에 더 쉽게 접근해요. 연구가 잘 안되면 한국 학생들은 자기 탓을 많이 하는데, 저만이 아닌 다른 한국인 동료도 그렇다면 이건 교육 환경의 문제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그때 한국으로 돌아가 학생을 가르치는 교수가 된다면 주입식 교육 문제를 조금이나마 해결해봐야겠다고 다짐했습니다.”
초반에는 그도 기존과 다른 교육방식을 수업에 적용하기가 쉽지 않았다. 우선 자신부터 그렇게 배워본 적이 없었던 까닭이다. 국제학회에서 만난 미국 교수와 공동연구를 하면서 방법을 모색해 나갔고, 교과서를 쓰지 않고 핵심 개념을 중심으로 문제 상황을 제시하며 학생 스스로 사고할 수 있도록 했다. 사실 이러한 시도는 교수자의 시간과 정성이 매우 필요한 일이다. 하지만 교사를 양성하는 사범대학 교수인 자신이 도전하지 않는다면, 미래 세대의 수학교육 역시 변하지 않을 거라는 판단이 들었다.
문제 풀이 기술이 아닌 맥락 이해를 우선하는 교수법을 강조하는 그에게 주입식 교육에 익숙한 이들은 ‘진도는 어떻게 나가느냐’고 묻기도 한다. 그럴 때마다 그는 “진도를 나가는 주체는 교수가 아닌 학생”이라고 강조한다.
“국내 교육의 문제 가운데 하나는 질문하는 법을 가르치지 않는다는 겁니다. 질문은 항상 외부에서 주어지는 걸로 인식해요. 탐구지향 교수법에서 접하는 수학 문제들은 한국 학생들이 보기에는 얼핏 불완전해 보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학생들이 다양한 해결 방법을 찾아가면서 발산적 사고를 할 수 있게 해줍니다.”
한림원탁토론회 ‘4차 산업혁명 시대 대한민국의 수학교육, 이대로 좋은가’
[출처:YTN 사이언스]
상상초월 석학강연 토크 콘서트 - 수학 이야기
[출처:henamubook 유튜브]

평가방식이 바뀌어야 교육이 달라진다

권오남 교수는 “기존 지식을 그대로 전달하는 교수법에 변화를 주면 ‘수포자’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말한다. 하지만 입시를 절대적으로 여기는 한국 사회 특성상, 교육과정을 아무리 혁신해도 이를 현장에 적용하기는 쉽지 않다.
“선진국을 빠르게 따라가야 했던 시절에는 모방형 인적자원을 키우는 교육도 필요했지만, 지금은 시대가 달라졌습니다. 한국의 교육과정은 이미 역량 중심 교육과정으로 개편되었고, 문서상으로는 무척 훌륭합니다. 그런데 입시는 여전히 예전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어요. ‘교육과정’의 몸통을 ‘평가’라는 꼬리가 흔들고 있는 거지요. 교육과정의 이상은 높은데 이를 뒷받침하는 평가 시스템이 갖춰지지 않은 것이 우리의 현실입니다.”
권오남 교수는 변별력을 위해 소위 말하는 ‘킬러 문항’을 수학능력시험에 출제할 수밖에 없는 현재의 입시 환경부터 바뀌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문제 해결만을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프로젝트 학습 등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는 인프라가 갖추어질 때, 수학을 좋아하는 ‘수호자’들이 나올 수 있다는 것이다. 한편으로 자조적으로 사용하는 ‘수포자’라는 말이 학생들의 수학적 잠재력을 제한하지 않기를 바란다. “지금은 인문계열에서도 통계는 물론 파이썬(Python)같은 프로그래밍을 빈번하게 활용합니다. 빅데이터를 활용하는 분야가 점차 확대돼 앞으로 더욱더 수학의 쓰임새가 많아질 겁니다. 수학은 우리 일상생활에 너무도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어요. 많은 학생이 입시에 매몰된 학습에서 벗어나 수학을 탐구하며 학습하는 과정을 통해 다양한 분야에서 수학의 쓰임을 발견하는 경험을 하기 바랍니다.”
20세기 초 영국의 대표적인 수학자인 G.H.하디는 자신의 저서 『어느 수학자의 변명』에서 “나는 ‘유용한’ 일을 해본 적이 없다. (중략) 앞으로 하게 될 어떠한 발견도 세상사의 이로움과는 별로 관계가 없다”라고 말했으나, 세월이 흐른 지금 당시 그의 연구 분야였던 정수론은 암호학에 영향을 주며 일상생활에 ‘유용’하게 사용된다. 오래전 지적인 아름다움을 탐구했던 수학적 여정이 훗날 인류에게 유용하게 쓰일 수 있는 셈이다. 권오남 교수는 하디의 일화를 전하며, 더 많은 이가 수학의 본질을 느낄 수 있기를 희망했다. 수학을 제대로 알게 되면 수학을 포기할 까닭이 없다. ‘수포자’ 는 사라지고 ‘수호자’가 넘쳐나는 그날까지, 권오남 교수의 인생 사전에도 ‘포기’라는 단어는 없을 것이다. 케이 로고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