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K
배움 더하기 아이콘 이미지

배움 더하기

고민 상담소

코로나19 시대 슬기로운 부모 생활

코로나19로 비대면 가정학습이 늘면서 자녀들의 문제 행동으로 인한 갈등도 폭발적으로 늘어났다. 문제 행동을 발견하면 어떻게 대처를 해야 할까? 언행이 마음에 들지 않는다고 잔소리를 하거나 화를 내면 부모의 역할은 수렁에 빠지고 만다. 그렇다고 가만히 두고 볼 수도 없다. 자녀가 처한 상황과 아이의 성향, 시기와 방향성 등을 모두 고려해서 문제 해결 방법을 찾아야 한다. 무엇보다 자녀에게 영향을 미치는 상황적인 요소도 파악할 수 있는 안목과 지혜가 필요하다. 실타래처럼 엉켜버린 부모와 자식의 관계를 회복하기 위한 첫걸음은 여기서부터다.

박재원 사람과교육연구소 소장

자랑스러운 자식이 ‘원수’가 된 사연

“정말 자식인지 ‘웬수’인지 모르겠어요!” 한때 공부 잘하는 자식 자랑에 바쁘던 엄마 입에서 이런 얘기가 나올 줄이야. 지금은 누가 아이 얘기를 물어볼까 두려워 대인기피증까지 생겼다는 엄마와 마주 앉았다. 코로나19로 가정학습이 늘어나면서 부모와 자녀와의 갈등 문제를 호소하는 가정도 크게 늘고 있다.
낳고 길러준 부모에게 매일 절을 해도 모자랄 판에 ‘웬수’가 된 아이를 만났다. 하지만 자신을 한심하게 바라보는 시선, 너무나도 싫었던 부모가 자신을 바라보는 부정적 시선 대신 독립적 인격체로 존중하는 태도를 보이는 것을 느끼면 아이들은 속마음을 털어놓는다. 사실은 조금 더 습득력이 빠른 공부 머리로 동네에서 승승장구하던 아이가 새로운 학군으로 이사 와 치열하게 경쟁하는 친구들을 보고 겁을 먹은 것이다. 최선을 다했는데도 패자가 되는 비참한 신세가 될 수는 없다는 마음을 읽을 수 있었다. 그래도 자존심을 지키려면 예전보다 더 노력해야 한다는 생각이 들기는 하지만 자신도 모르게 강해진 회피 본능 때문에 아이도 방황하고 있었던 것이다.
“엄마가 실망할 걸 아니까 저도 정말 열심히 해보려고 했어요. 그런데 도무지 공부에 집중이 안 되는 걸 어떡해요!”
아이는 예전처럼 엄마와 사이좋게 지내고 싶어 했다. 열심히 공부했고, 엄마에게 자주 칭찬을 듣던 때를 그리워하고 있었다. 게임을 하면서도 자신에게 계속 이러면 안 된다고 중얼거린다고 했다. 하지만 게임을 할 때만 마음이 편해져 도저히 끊을 수가 없다고 토로했다.
아이의 진심을 확인하고 나서 다시 부모를 만났다. 부모는 이사와 전학이라는 급작스러운 환경 변화가 아이에게 미친 영향을 충분히 이해한 뒤 눈물을 흘렸다.
아이의 행동에 숨어 있던 상황적 요인을 이해하게 된 부모들이 자주 하는 말이 있다. “나만 힘든 줄 알았는데 아이는 더힘들었겠네요.” 비록 과정이 쉽지는 않지만, 아이에 대한 오해에서 벗어나 부모와 아이의 진심이 만나면 대부분 해피 엔딩을 맺는다.

처음부터 문제 인간은 없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나의 행동은 문제가 없고 단지 상황이 문제일 뿐이라고 생각한다. 문제 상황이 문제 행동을 유발하지만 정작 문제 상황은 숨어버리고 문제 행동만 남아 결국 문제 인간으로 몰아가는 것이 문제라고 늘 주장한다. 하지만 문제 인간은 없다. 특히 부모가 아이를 문제 인간으로 몰아가면 안 된다. 상황을 제대로 보지 못하고 행동만 문제 삼아 아이를 문제 인간으로 몰아가는 순간 부모 역할은 벼랑 끝에 선다. 상황을 살펴야 할 일인데 아이 탓을 하면 부모와 아이 사이의 갈등은 불가피하다. 이는 곧 ‘생각은 어떻게 작동되는가’라는 부제가 달린 책 「마인드웨어」의 핵심 주장이다.
사람들은 자신과 타인의 행동에서, 심지어 사물의 움직임에서도 그 원인을 설명할 때 기질을 지나치게 강조하는 반면 상황은 무시하는 경향이 있다. 겉으로 드러난 행위에 숨어 있는 ‘진짜 욕구’를 볼 줄 알아야 부모로서 제 역할을 할 수 있다.

코로나19로 시작된 자녀와의 전쟁

코로나19 사태는 삶의 무대, 일상적 상황을 엉망진창으로 만들었다. 그렇지 않아도 가혹한 시험공부, 성적 경쟁에 시달리는 아이들은 온·오프라인 수업을 병행해야 하는 상황에서 온갖 욕구불만에 시달리고 있다.
특히 사춘기 아이들이 정상적으로 성장하기 위해 충족되어야 하는 무리 짓기와 집단행동, 영역 싸움, 멋부리기, 의례적 과시 행동, 둥지 틀기 행동, 짝짓기 의식, 속임수, 사회계층 구조의 확립과 유지 등의 욕구(「뇌가 배우는 대로 가르치기」, 한국뇌기반교육연구소)가 대부분 코로나19 상황에 갇혀 좌절되고 있다.
어려운 얘기가 아니라 지금의 부모들이 학창 시절 학교 안팎에서 끼리끼리 모여 어울리면서 충족했던 욕구들이다. 겉으로 드러난 모습이 아니라 왜 그럴 수밖에 없는지에 대한 상황적 요인과 아이들의 좌절된 욕구가 무엇인지 깊이 들여다보기 위해 노력하는 과정에서 이치에 맞는 결론에 도달해야 한다. 아이에게 “충분히 그럴 수 있어!”라고 말해주자.
만약 ‘어떻게 네가 나한테 이럴 수 있어!’, 이렇게 원망하는 마음이 남아 있으면 상대가 처한 상황이 눈에 들어오지 않는다. 일단 상대를 탓하기 시작하면 서로의 탓을 하게 되고, 관계가 망가져 버린다.
「뱀의 뇌에게 말을 걸지 마라」의 저자 마크 고울스톤은 인간의 뇌를 가장 원시적인 파충류(뱀)의 뇌, 중간층인 포유류(토끼)의 뇌, 가장 바깥층인 인간의 뇌, 이렇게 3가지로 분류했다. 그러면서 상대와 소통하기 위해서는 ‘파충류의 뇌’ 상태를 유지해서는 안 된다고 말한다. 하지만 코로나19로 평범한 일상을 잃어버린 아이들은 점점 파충류의 뇌 상태로 변해가고, 집은 전쟁터가 되었다. 부모의 문제도, 아이의 문제도 아니다. 부모도 원치 않고, 아이도 원치 않는 상황이 분명하다. 극심한 혼란, 코로나19 상황에서 부모와 아이를 모두 파충류로 만드는 상황적 요인이 즐비하기 때문이다.
[욕구 카드]
욕구 카드 (출처 : 수업디자인연구소 개발 제품)
‘욕구 카드’를 구해 아이들의 욕구불만이 무엇인지부터 확인해보자. 방학까지 겹쳐 욕구불만에 가득 찬 뱀의 뇌끼리 만나 힘겨운 가정생활을 하고 싶지 않다면 아이 앞에 욕구 카드를 펼쳐놓자. 아이가 고른 카드를 보면서 진심으로 관심을 가져야 한다. 왜 그런 카드를 골랐는지 상황적 요인까지 이해하기 위해 노력하자. 부모는 아이가 얘기할 때 아무리 하고 싶은 얘기가 치밀어 올라도 참아야 한다. 때를 기다려야 한다. ‘인간의 뇌’로 전환될 수 있도록 도우면 때가 온다.
‘1인 1닭’이 아니라 ‘1일 1욕구충족’으로 다시 시작하는 가정생활은 분명 달라질 것이다. ‘파충류의 뇌’ 상태에서 자신도 모르게 동물적 욕구충족을 위해 아등바등하던 아이가 부모의 도움으로 욕구불만 상태에서 벗어나 ‘인간의 뇌’로 살아갈 수 있게 된다면 부모와 아이 모두 만족할 수 있는 상생의 길이 열릴 것이다. 케이 로고 이미지